8월 3일 서울신문 '윤창수 기자의 지방을 살리는 사람들' 시리즈 16편에 일로오션과 더웨이브컴퍼니 최지백 대표의 인터뷰 기사가 보도되었습니다.
강릉과 청년, 새로운 일과 삶을 꿈꾸는 더웨이브컴퍼니의 이야기와 인터뷰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기사 내용 중 더웨이브컴퍼니, 일로오션에 대한 내용을 발췌한 부분입니다.
"커피를 마시며 서핑을 하는 강릉은 청년들이 오고 싶어하는 근사한 도시입니다."
최지백(31) 더웨이브컴퍼니 대표는 강릉을 일과 휴가가 결합한 '워케이션'의 성지로 만들고 있다. 2018년 최 대표를 포함한 세 친구는 지역에서 새로운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에 강릉에서 살롱 문화를 파는 카페와 선술집을 열었다. 세 명의 창업 동기는 모두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했고 최 대표는 경영대학원에 다니며 전문성의 깊이를 더하고 있다.
(중략)
전남 목포의 괜찮아마을, 경북 문경의 달빛탐사대 등 먼저 시작한 청년 마을을 살펴보고서 강릉만이 가진 강점을 재발견했다. 강릉에는 대학교가 4곳이나 있지만, 지역사회와의 연결고리는 부실하다는 것이 최 대표의 진단이었다.
강릉에 너무나 오고 싶어하는 수도권 청년과 일자리가 없어서 지역을 떠나는 강릉 청년을 연결해 서로 자극을 주자는 것이 더웨이브컴퍼니가 운영하는 공동체 '강릉살자'의 구상이다. 2년간 '강릉살자' 공동체 프로그램에 23명의 청년이 참여했고, 영상 일을 하다 강릉에 사진관을 내거나 향수 제조 업체에 취직하는 등 강릉에 정착한 이는 5명이다.
(중략)
"워케이션은 그냥 쉬러 가는 거지 일과 휴가를 겸하는 게 가능하냐고 하는데 여기 오는 분들은 바다와 소나무 숲만 보면서 일주일 동안 진짜 일만 한다"고 최 대표는 강조했다. 회사에서 워케이션에 직원을 참여시켰을 때, 직원들은 회사 대표가 믿고 보내준 만큼 즐거운 마음으로 열심히 일한다고 덧붙였다. 남는 시간에 최상의 휴식을 보장하는 것이 그의 역할이다.
동해안의 소나무숲을 바라보는 호텔의 워케이션 사무실에서 최 대표는 "메타버스 출근제도에서 시간이나 공간은 중요하지 않고, 업무량은 인공지능으로 충분히 감시 가능하다"면서 "바다·커피·서핑이 다 있고, 고속철로 2시간 거리인 강릉은 제주보다 접근성이 낫다"고 자신했다.